Share: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LinkedIn I recommend visiting cushmanwakefield.com to read:%0A%0A {0} %0A%0A {1} Share on Naver

공사비와 매매 추이로 보는 물류센터 수익성과 투자 수요 비교

Jinwoo Jung • 04/04/2023
최근 3년간 COVID-19, 러시아-우크라이나 침공, 글로벌 물가폭등 등 불안정한 경제 상황 속에서 물류센터의 수요와 공급은 큰 변화를 맞고 있다.

2015년부터 2019까지 공급된 물류센터1는 상온 센터 66%, 저온 센터 4%, 상·저온 복합 물류센터 30%의 비중을 보였다. 코로나19 이후 저온 면적에 대한 집중적인 공급이 이루어져,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공급된 물류센터의 유형별 비중은 상온 센터 30%, 저온 센터 15%, 복합 물류센터 55%를 기록하였다. 대면 소비 제약으로 인한 온라인 신선 식품 배송 시장이 비약적으로 성장하며 저온 면적에 대한 수요가 증가한 영향으로, 유통회사와 냉장·냉동 전문 3PL 업체가 자가 사용하던 기존의 형태에서 벗어나 저온 면적에 대한 임차 및 매입 수요를 노리고 개발된 저온 물류센터가 다수 공급되었다.

물류센터 공급 시장에선 글로벌 공급망 불안정과 건설 원자재 상승으로 공사비2 증가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코로나 이전인 2019년에 착공된 물류센터의 평당 공사비는 상온 기준 260만 원, 저온 390만 원 수준이었으나, 2022년 착공된 물류센터의 평균 공사비는 상온 기준 평당 350만 원, 저온 기준 460만 원 수준으로 3년 동안 각각 34%, 18% 증가했다. 한편 평당 매매가3는 2019년 상온 440만 원, 저온 1,030만 원에서, 2022년 상온 620만 원, 저온 1,180만 원으로 각각 41%, 15% 증가했다. 

2022년 착공된 저온 센터의 평당 공사비는 상온 센터에 비해 약 1.3배 높았지만, 2022년 매매된 물류센터의 평당 매매가의 경우 저온 센터가 상온 센터에 비해 약 2배 수준으로, 저온센터의 수익성이 높았다. 하지만 상온 물류센터의 매매 건수가 저온 물류센터의 약 4배 수준으로 탄탄한 매매 수요를 가지고 있어, 상온 면적과 저온 면적을 적절히 배치하여 투자 수요와 수익성을 조정할 수 있는 복합 물류센터가 투자시장에서 강점을 보였다.
 

최근 뉴스

APAC Fit-out Card Image
아시아 태평양 지역 팬데믹 이후 오피스: 공사 비용은 더 들지만 여전히 중요

글로벌 부동산 서비스 회사인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에서 최근 발표한 ‘2023 Project & Development Services Fit Out Guide’ 에 따르면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타이트한 노동시장 및 지속적인 공급망 지연으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평균 오피스 구축 공사 비용이 증가했지만 주요 임차자들은 사무실 복귀율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에 더 많은 비용을 지출하고 있다.

Hena Park • 30/03/2023

Cushman & wakefield korea offers 3d virtual property tours with matterport digital twins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 메타포트 3D 가상 부동산 투어 제공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 코리아는 메타포트(Matterport)의 3D 가상화 투어 솔루션을 도입하여 최고 수준의 자산 평가와 강화된 자산 마케팅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Hena Park • 31/08/2022

팬데믹 이후 마주할 오피스의 미래와 하이브리드 업무 공간을 위한 인사이트

포스트 펜데믹 시대가 도래함에 따라 국내에서도 기업들이 직원들의 사무실 복귀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주요

Hena Park • 28/06/2022

추가 옵션
동의 후 종료


이러한 쿠키를 통해 당사는 마케팅 파트너와 협력하여 여러분이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전에 클릭하신 광고 또는 링크를 파악하거나 당사의 광고가 여러분에게 보다 관련이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모두 동의
모두 거부
설정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