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Share: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LinkedIn I recommend visiting cushmanwakefield.com to read:%0A%0A {0} %0A%0A {1} Share on Naver
msatw-mobile-hero.jpg msatw-hero.jpg

보고서

Main Streets Across the World 2025

35

보고서 보기

35번째 발간된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대표 글로벌 리테일 보고서 ‘Main Streets Across the World’는 전 세계 주요 상권의 견고한 성장세와 변화를 조명합니다. 데이터 기반의 심층 분석과 오프라인 매장에 대한 꾸준한 수요를 바탕으로, 글로벌 리테일 업계는 새로운 전환점을 맞이하고 있습니다. 본 보고서는 주요 상권의 회복력과 경제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그리고 글로벌 리테일 전략에서의 핵심적 역할을 종합적으로 살펴봅니다.

리테일 시장의 역동적 변화

높은 경제적 불확실성과 글로벌 시장 변동 속에서도, 리테일 부문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지난 1년간 글로벌 주요 상권의 임대료는 4.2% 상승하며, 중앙은행이 다양한 경제적 압력에 대응하는 가운데서도 안정적인 흐름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리테일 기업들은 시장 변동을 기회로 삼아, 빠른 적응과 전략적 대응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습니다. 프라임 상권 경쟁이 치열해짐에 따라, 브랜드들은 포트폴리오를 창의적으로 구성하고 첨단 데이터를 활용해 최적의 상권을 선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도 변하지 않는 것은 입지로, 주요 리테일 상권의 오프라인 매장 수요는 여전히 강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징적인 거리들은 높은 유동 인구와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갖추고 있어, 브랜드들에게 전략적 요충지로 자리 잡고 있습니다. 

 

성장 동향

글로벌 임대료 상승 동향

전 세계 임대료 수준은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지만, 조사 대상 시장의 58%는 전년 대비 상승세를 기록했습니다. 프라임 상권을 둘러싼 리테일 기업 간 경쟁이 지속되면서, 주요 거리의 수요와 임대료 상승을 견인하고 있습니다.

미주 지역은 전년 대비 약 8% 상승했으며, 남미 도시들이 성장세를 견인하면서 글로벌 시장에서 주요 성장 지역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유럽은 4% 수준의 안정적인 성장세를 이어갔으며, 아시아태평양 지역은 약 2% 상승하며 소폭 둔화된 증가세를 보였습니다.

순위

상징적 메인 스트리트 및 순위 

런던 뉴 본드 스트리트가 밀라노 비아 몬테나폴레오네와 뉴욕 피프스 애비뉴를 제치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임대료를 기록하는 리테일 상권으로 올라서며, 지난 1년간 글로벌 주요 메인 스트리트 순위에 유의미한 변화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뉴 본드 스트리트의 임대료가 지난 1년간 22% 상승해 평방피트당 2,231달러를 기록한 데 따른 것이며, 동일 기간 동안 밀라노와 뉴욕은 동일 수준을 유지했습니다.

이번 변화로 비아 몬테나폴레오네는 글로벌에서 두 번째로 높은 임대료를 기록하는 상권으로 자리매김했으며, 이어 뉴욕 어퍼 피프스 애비뉴(Upper Fifth Avenue)가 세 번째를 차지했습니다. 상위 5위권의 나머지 순위는 변동이 없으며, 홍콩 침사추이와 파리 샹젤리제 거리가 각각 4위와 5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한편, 5위 파리와 6위 도쿄 긴자 간의 격차는 상당 폭 좁혀졌습니다. 긴자는 임대료가 10% 상승하며, 글로벌 리테일 시장에서 전략적 요충지로서의 입지를 견고히 하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전 세계 주요 상권 순위 산정 방법 

Main Streets Across the World 보고서는 전 세계 141개 주요 도심 리테일 상권의 핵심 임대료를 분석합니다. 본 보고서는 전년 대비 변화를 분석하여 글로벌 및 지역별 임대료 동향을 명확히 제시하며, 국가별 주요 메인 상권과 함께 미주, 아시아태평양(APAC), 유럽 지역별 상세 순위를 통해 조사 대상 도시별 상세 정보를 제공합니다. 

경제적 영향

경제 변화 및 리테일의 회복력


급변하는 경제 상황의 영향으로 글로벌 주요 상권은 광범위한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2025년 초 인플레이션 안정과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에 힘입어 기업과 소비자 심리가 회복세를 보이며 리테일 활동도 점진적으로 활성화되었습니다.

그러나 4월 초 도입된 새로운 관세로 경제 정책이 급변하면서 불확실성이 확대되고, 시장 신뢰 지수는 일시적으로 하락했습니다. 그럼에도 리테일 부문은 견조한 회복세를 유지하고 있으며, 일부 지역에서 경제 성장 속도가 둔화되는 가운데 대부분 지역의 리테일 매출은 여전히 증가세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현 경제 환경에서는 변동성 확대에 따른 리테일 기업의 유연한 전략적 대응이 필요합니다. 글로벌 경제가 2025년 하반기 및 2026년 초 회복세를 보일 것으로 전망되고 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이 있는 가운데, 이러한 여건은 기업이 안정적 성장 전략을 유지하고 시장 기회를 적극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합니다.

관세 및 리테일

리테일 공급망의 혁신

관세, 지정학적 리스크, 소비자 수요 변화 등 글로벌 환경의 불확실성이 확대되면서, 리테일 공급망은 빠른 속도로 재편되고 있습니다. 비용 부담 상승과 항만 혼잡 등 구조적 제약이 지속되는 가운데, 다수의 리테일 기업은 이를 기회로 활용하여 운영 효율성을 강화하고 공급망 회복탄력성을 제고하고 있습니다. 특히 근거리 조달(nearshoring) 전략이 확대되며, 동유럽과 라틴아메리카 등 지역을 중심으로 리드 타임 단축과 안정적인 물류망 확보를 추진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리테일 기업들은 예측 분석, 마이크로 풀필먼트, 다각화된 소싱 전략 등 핵심 기술과 운영 역량에 대한 투자를 지속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전략적 투자는 변화하는 시장 조건에 신속히 대응하고 고객 수요를 충족함과 동시에, 장기 경쟁력 확보 기반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오늘날 끊임없이 변화하는 글로벌 리테일 시장에서 민첩성과 혁신은 지속 가능한 성장과 경쟁력 확보를 위한 핵심 요소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

메인 스트리트의 미래

글로벌 주요 상권의 미래 전망

전 세계 여행객들이 상징적인 목적지와 독특한 경험을 찾아 나서면서, 글로벌 주요 메인 스트리트는 국제 관광 수요 확대와 변화하는 소비자 기대에 힘입어 견조한 성장을 이어갈 전망입니다. 리테일 기업들은 데이터를 활용해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 수요를 분석하고, 이에 최적화된 상품과 서비스를 제공하며 경쟁력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향후 시장 변화와 문화 트렌드에 민첩하게 대응하는 기업이 성장을 견인할 것으로 전망되며, 메인 스트리트는 쇼핑과 교류의 핵심 거점으로서 지속적인 위상을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전체 보고서 컬렉션 알아보기 External Link  

 

원하는 결과를 찾지 못하셨나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전문가들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추가 옵션
동의 후 종료


이러한 쿠키를 통해 당사는 마케팅 파트너와 협력하여 여러분이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전에 클릭하신 광고 또는 링크를 파악하거나 당사의 광고가 여러분에게 보다 관련이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모두 동의
모두 거부
설정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