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 중부, 평택-제천 고속도로가 경유하는 뛰어난 교통편의성으로 인해 IC 인근에 많은 물류센터가 집중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외 대기업의 물류 거점 구축 수요로 인해 1만평 이상 중대형 센터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대표적인 물류 밀집지역인 용인의 대체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을 뿐 아니라 제 2경부고속도로 호재로 인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많은 116만평 규모의 신규 물류 개발사업이 준비 중에 있습니다.
5천평 이상 물류센터를 대상으로 임차인 산업군 비중을 분석한 결과, 3PL이 40%, 이커머스가 24%, 패션이 11%를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3PL의 경우, 삼성전자로지텍이 약 34%를 차지하고 있으며, 이커머스는 쿠팡이 전체 면적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패션은 데상트코리아, 독립문⁴, 네파 등 업체들이 센터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최근 이커머스의 성장과 함께 라스트마일 거점 및 풀필먼트 센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안성 지역이 가진 라스트마일 거점 및 풀필먼트 센터로서의 매력도를 인접한 이천과 비교 분석해보고자 합니다.
안성은 경부고속도로, 중부고속도로, 평택-제천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 요충지로 서울 남부 및 수도권 남부 지역까지 1시간 내에 도달할 수 있습니다. 또한, 2025년 서울-세종고속도로 개통 시 기존 고속도로 혼잡 완화 및 수도권 접근성이 더욱 개선될 것으로 기대됩니다.
최근 신속 배송에 대한 소비자의 니즈가 증가하며 수요지와 리드타임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류 거점의 중요도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안성은 서안성IC 기준 DT 40 min Coverage 내 수원, 군포, 안산 등이 분포하고 있어 풍부한 수요를 보유(이천 대비 약 127% 수준)하고 있으나, 이천 대비 물류센터 공급은 약 49% 수준으로 향후 이커머스 거점으로서의 가치가 상승할 것으로 기대되는 지역입니다.
소량 주문에 대한 피킹, 포장, 분류 및 출고 작업을 수행하는 풀필먼트 센터 특성 상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하며, 센터 선정 시 인력 수급 용이성이 중요한 요소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안성은 인근에 평택 고덕, 오산 등 인구 밀집 지역이 분포하고 있어 약 1.5백만명의 인구가 상주하고 있으며, 0.8백만명이 상주하는 이천 대비 안성이 인력 수급 측면에서 풀필먼트 거점으로 활용되기에 더욱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Logistics Tenant Profile #5 - 안성: 수도권과 지방권을 잇는 전략 요충지
Carter Kim • 28/04/2023
경부, 중부, 평택-제천 고속도로가 경유하는 뛰어난 교통편의성으로 인해 IC 인근에 많은 물류센터가 집중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외 대기업의 물류 거점 구축 수요로 인해 1만평 이상 중대형 센터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보고서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3 – 김포: 이커머스 물류 발원지
김포는 서울과 인접한 고촌 물류단지가 조성되며 대표적인 라스트마일 배송 거점으로 자리매김했으나, 추가 개발 가능 용지 부족으로 신규 공급이 제한적이었습니다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2 – 충청: 변화하는 물류 허브
충청 권역은 경부 및 중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대부분의 물류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2019년 대비 2024년 물류 면적이 약 220%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천안, 음성, 진천 지역에 신규 공급량의 약 70%가 집중 분포하고 있습니다.
Carter Kim • 27/03/2025
Insights • Workplace
오피스 구축공사 비용 가이드는 기업의 부동산 결정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Dominic Brown • 05/03/2025

Insights
2024년 하반기 수도권 데이터센터 개발은 상반기보다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주요 개발 지역이 서울 남서부에서 인천·
Chloe Kwon • 04/03/2025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1 – 안성: 위기의 New 물류 HUB
안성은 4개 광역 교통망이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로, 고속도로 접근성이 뛰어난 IC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물류 권역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최근 3년새 물류센터가 약 2배 증가하였으며, 원곡면, 일죽면, 양성면 등 기존 물류 공급 지역에 골고루 신규 공급이 이뤄졌습니다.
Carter Kim • 05/02/2025
Article • Technology
고성능 컴퓨팅 시대, 데이터센터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데이터센터 산업은 높은 클라우드 수요와 AI의 부상으로 인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20/01/2025
Research • Economy
오피스 시장은 안정적인 임대료와 수익률로 강세를 보였고, 물류센터는 과잉 공급 문제에도 불구하고 우량 물류센터와 NPL 거래가 이어졌다.
Suki Kim • 18/12/2024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0 –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
화성은 크게 1~3권역으로 구분되며, 동탄신도시로 대표되는 1권역, 대학이 밀집해 있는 2권역, 그리고 다수의 산업단지가 밀집해 있는 3권역으로 나뉩니다.
Carter Kim • 26/11/2024
Insights • Workplace
서울의 오피스 임차시장은 주요 업무 권역 내 신규 오피스 공급 부족으로 최저 공실률과 최고 임대료를 기록하며 임대인 우위 시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Suki Kim • 12/11/2024
Article • Technology
한국 데이터센터 산업: 전력 수급과 규제 강화 속 성장과 과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5G 네트워크 구축, 정부의 디지털화 이니셔티브, 그리고 모바일 및 인터넷 보급률 증가와 같은 기술 발전의 주요 요인들이 데이터센터 수요를 크게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29/10/2024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19 – 용인: 대한민국 물류 축소판
용인은 우수한 교통망을 가진 전통적인 물류 클러스터로, 광역 교통망을 따라 A(기흥·수지구), B(양지면·백암면·원삼면), C(남사읍) 권역으로 물류 권역이 점차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Carter Kim • 29/10/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