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포는 대표적인 도심형 물류 거점으로, 다양한 유통·물류·이커머스 기업들이 입주해 운영 중입니다. 특히 김포고촌물류단지는 서울, 고양, 부천 등 주요 수요지와 30분 이내에 위치해 있어 빠른 배송이 가능해 유통 거점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촌 지역은 개발 가능한 부지가 거의 소진되어 신규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인천 서구와 인접한 대포·학운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신규 물류센터 공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양촌읍 등 외곽 지역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들 지역은 서울 도심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 기존 고촌 지역에 비해 입지적 강점은 다소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포 권역 내 5천 평 이상 물류센터의 임차 산업군을 분석한 결과, 3PL(26.1%), 유통(25.1%), 이커머스(20.6%), 택배(10.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입주 기업으로는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SSG.COM, GS리테일, 이마트 등이 있으며, 특히 유통 부문은 소수 대형 기업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확산되면서, 물류센터에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이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증 제도인 LEED(미국 그린빌딩협의회 인증)는 설계부터 시공, 운영까지 전 과정에서 친환경 요소를 평가하며, 국내에서도 김포 성광 물류센터를 포함한 25개 센터가 인증을 획득했고, 22개 센터가 추가 인증을 준비 중입니다.
특히 켄달스퀘어 고양로지스틱스파크는 LEED BD+C와 O+M 인증을 모두 획득한 대표 사례로, 지속가능한 자재 사용, 절수 설비, 에너지 모니터링, ESG 조항 도입 등 전방위적인 친환경 운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ESG 인증은 단순한 친환경 요소를 넘어, 투자 유치, 금리 절감, 임대료 상승, 운영비 절감 등 다양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며, 김포를 포함한 국내 물류 부동산 시장 전반에 걸쳐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Logistics Tenant Profile #8 - 김포: 도심 물류 전진 기지
Carter Kim • 31/07/2023
보고서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3 – 김포: 이커머스 물류 발원지
김포는 서울과 인접한 고촌 물류단지가 조성되며 대표적인 라스트마일 배송 거점으로 자리매김했으나, 추가 개발 가능 용지 부족으로 신규 공급이 제한적이었습니다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2 – 충청: 변화하는 물류 허브
충청 권역은 경부 및 중부 고속도로를 축으로 대부분의 물류센터가 위치하고 있으며, 2019년 대비 2024년 물류 면적이 약 220% 수준으로 증가하였습니다. 특히 천안, 음성, 진천 지역에 신규 공급량의 약 70%가 집중 분포하고 있습니다.
Carter Kim • 27/03/2025
Insights • Workplace
오피스 구축공사 비용 가이드는 기업의 부동산 결정에 필수적인 도구입니다
Dominic Brown • 05/03/2025

Insights
2024년 하반기 수도권 데이터센터 개발은 상반기보다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었으며, 주요 개발 지역이 서울 남서부에서 인천·
Chloe Kwon • 04/03/2025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1 – 안성: 위기의 New 물류 HUB
안성은 4개 광역 교통망이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로, 고속도로 접근성이 뛰어난 IC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물류 권역이 형성되어 있습니다. 최근 3년새 물류센터가 약 2배 증가하였으며, 원곡면, 일죽면, 양성면 등 기존 물류 공급 지역에 골고루 신규 공급이 이뤄졌습니다.
Carter Kim • 05/02/2025
Article • Technology
고성능 컴퓨팅 시대, 데이터센터는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
데이터센터 산업은 높은 클라우드 수요와 AI의 부상으로 인해 계속해서 성장하고 있다.
20/01/2025
Research • Economy
오피스 시장은 안정적인 임대료와 수익률로 강세를 보였고, 물류센터는 과잉 공급 문제에도 불구하고 우량 물류센터와 NPL 거래가 이어졌다.
Suki Kim • 18/12/2024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0 – 화성: 어디까지 가봤니
화성은 크게 1~3권역으로 구분되며, 동탄신도시로 대표되는 1권역, 대학이 밀집해 있는 2권역, 그리고 다수의 산업단지가 밀집해 있는 3권역으로 나뉩니다.
Carter Kim • 26/11/2024
Insights • Workplace
서울의 오피스 임차시장은 주요 업무 권역 내 신규 오피스 공급 부족으로 최저 공실률과 최고 임대료를 기록하며 임대인 우위 시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Suki Kim • 12/11/2024
Article • Technology
한국 데이터센터 산업: 전력 수급과 규제 강화 속 성장과 과제
클라우드 컴퓨팅 도입, 5G 네트워크 구축, 정부의 디지털화 이니셔티브, 그리고 모바일 및 인터넷 보급률 증가와 같은 기술 발전의 주요 요인들이 데이터센터 수요를 크게 증가시키고 있습니다.
29/10/2024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19 – 용인: 대한민국 물류 축소판
용인은 우수한 교통망을 가진 전통적인 물류 클러스터로, 광역 교통망을 따라 A(기흥·수지구), B(양지면·백암면·원삼면), C(남사읍) 권역으로 물류 권역이 점차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Carter Kim • 29/10/2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