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NTACT US
Share: Share on Facebook Share on Twitter Share on LinkedIn I recommend visiting cushmanwakefield.com to read:%0A%0A {0} %0A%0A {1} Share on Naver

Logistics Tenant Profile #8 - 김포: 도심 물류 전진 기지

Carter Kim • 31/07/2023
김포는 대표적인 도심형 물류 거점으로, 다양한 유통·물류·이커머스 기업들이 입주해 운영 중입니다. 특히 김포고촌물류단지는 서울, 고양, 부천 등 주요 수요지와 30분 이내에 위치해 있어 빠른 배송이 가능해 유통 거점으로 높은 선호도를 보이고 있습니다. 그러나 고촌 지역은 개발 가능한 부지가 거의 소진되어 신규 공급이 제한적인 상황입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인천 서구와 인접한 대포·학운산업단지를 중심으로 신규 물류센터 공급이 확대되고 있으며, 양촌읍 등 외곽 지역도 개발이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이들 지역은 서울 도심과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어 기존 고촌 지역에 비해 입지적 강점은 다소 낮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김포 권역 내 5천 평 이상 물류센터의 임차 산업군을 분석한 결과, 3PL(26.1%), 유통(25.1%), 이커머스(20.6%), 택배(10.4%) 순으로 나타났습니다. 주요 입주 기업으로는 CJ대한통운, 롯데글로벌로지스, SSG.COM, GS리테일, 이마트 등이 있으며, 특히 유통 부문은 소수 대형 기업이 대부분의 면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이 확산되면서, 물류센터에도 친환경 건축물 인증이 필수 요소로 자리잡고 있습니다. 대표적인 인증 제도인 LEED(미국 그린빌딩협의회 인증)는 설계부터 시공, 운영까지 전 과정에서 친환경 요소를 평가하며, 국내에서도 김포 성광 물류센터를 포함한 25개 센터가 인증을 획득했고, 22개 센터가 추가 인증을 준비 중입니다.
특히 켄달스퀘어 고양로지스틱스파크는 LEED BD+C와 O+M 인증을 모두 획득한 대표 사례로, 지속가능한 자재 사용, 절수 설비, 에너지 모니터링, ESG 조항 도입 등 전방위적인 친환경 운영을 실현하고 있습니다.
이처럼 ESG 인증은 단순한 친환경 요소를 넘어, 투자 유치, 금리 절감, 임대료 상승, 운영비 절감 등 다양한 경제적 이점을 제공하며, 김포를 포함한 국내 물류 부동산 시장 전반에 걸쳐 그 중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습니다.

관련 인사이트

thumbnail image.jpg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9 - 부산·울산·경남: 이커머스 물류전쟁 제2의 격전지

부산·울산·경남 지역(이하 부울경)은 부산신항 배후부지 및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부산항·감천항 배후부지, 양산ICD 및 IFT 3개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Carter Kim • 01/09/2023
thumbnail image.jpg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5 - 안성: 수도권과 지방권을 잇는 전략 요충지

경부, 중부, 평택-제천 고속도로가 경유하는 뛰어난 교통편의성으로 인해 IC 인근에 많은 물류센터가 집중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외 대기업의 물류 거점 구축 수요로 인해 1만평 이상 중대형 센터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Carter Kim • 28/04/2023
thumbnail image.jpg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4 - 화성: 서부개척시대 물류 러쉬

동탄은 화성시 면적의 8%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43%가 밀집되어 있고, 물류센터는 면적기준 73% (통탄물류단지 219천평)가 집중 위치하고 있습니다.
Carter Kim • 31/03/2023
thumbnail image.jpg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3 - 용인: 수도권 저온 물류 HUB 아성을 유지할 것인가

전통적 물류 밀집지역인 수지·기흥구에 노후화된 냉동/냉장 물류센터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나 신도시 개발로 인해 신규, 재개발이 이뤄지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미개발 지역인 처인구에 신규 공급이 집중되었습니다. (용인시 공급 면적의 약 87% 처인구 집중)
Carter Kim • 28/02/2023
thumbnail image.jpg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 - 이천: 대한민국 물류 1번지

이천은 토지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전국을 연결하는 주요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라는 점에서 수도권 내 전통적인 물류센터 공급 지역입니다.
Carter Kim • 31/01/2023
thumbnail image.jpg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1 - 인천: 수출입 HUB에서 이커머스 격전지로

인천은 국내 최대 공항 및 항만이 위치하고 있어 수출입 물류센터 수요가 주를 이루던 지역입니다.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물류센터 수요 또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Carter Kim • 30/12/2022

원하는 결과를 찾지 못하셨나요?

쿠시먼앤드웨이크필드의 전문가들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추가 옵션
동의 후 종료


이러한 쿠키를 통해 당사는 마케팅 파트너와 협력하여 여러분이 웹사이트에 접속하기 전에 클릭하신 광고 또는 링크를 파악하거나 당사의 광고가 여러분에게 보다 관련이 있도록 지원할 수 있습니다.
모두 동의
모두 거부
설정 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