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주 지역은 과거 소형 자가 물류센터 위주로 공급되었으나, ‘21년 이후 용인, 이천 지역의 물류센터 인허가 규제가 강화됨에 따라 대체지로 부각되면서 물류센터 공급이 급증하였습니다. 영동고속도로 및 중부내륙고속도로가 교차하고 있어 접근성이 뛰어난 가남읍을 중심으로 물류센터가 공급되고 있으며, 여주 아울렛 인접 지역을 중심으로 무신사, K2코리아 등 다수의 어패럴 물류센터가 분포하고 있습니다.
‘25년까지 기 공급 면적의 2.3배 수준에 달하는 694천평 규모의 신규 공급이 예정되어 있으나, 이 중 25%만이 착공하였으며, 미착공된 519천평은 ’25년 이후 준공 또는 사업이 취소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공급 예정 센터는 기존 물류센터가 밀집한 가남읍을 중심으로 연라동, 삼교동 등 외곽 지역으로 확장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5천평 이상 물류센터를 대상으로 임차인 산업군 비중을 분석한 결과, 패션 39.6%, 3PL 34.1%, 유통 20.3% 순으로 점유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패션의 경우, 무신사로지스틱스, K2코리아가 전체 연면적의 약 71%를 차지하고 있으며, 3PL은 CJ대한통운, KCTC, 롯데글로벌로지스 등이, 유통업의 경우 이마트와 신세계인터내셔날이 여주 지역 내 물류센터에서 운영되고 있습니다.
물류센터는 크게 화물을 보관하는 창고(Storage), 차량을 접안하는 하역장(Berth), 차량 통행 구간인 차량 통로(Path), 차량의 수직 이동을 위한 램프(Ramp), 그리고 계단실, EV 등 코어와 사무실, 식당 등의 지원시설 6가지 영역으로 구성됩니다.
Logistics Tenant Profile #10 - 여주: 수도권 대표 물류 밀집권역, 용인, 이천 그리고 여주?
Carter Kim • 27/09/2023
관련 인사이트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9 - 부산·울산·경남: 이커머스 물류전쟁 제2의 격전지
부산·울산·경남 지역(이하 부울경)은 부산신항 배후부지 및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 부산항·감천항 배후부지, 양산ICD 및 IFT 3개 지역에 주로 분포하고 있습니다
Carter Kim • 01/09/2023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5 - 안성: 수도권과 지방권을 잇는 전략 요충지
경부, 중부, 평택-제천 고속도로가 경유하는 뛰어난 교통편의성으로 인해 IC 인근에 많은 물류센터가 집중 분포하고 있습니다. 특히 국내외 대기업의 물류 거점 구축 수요로 인해 1만평 이상 중대형 센터의 공급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Carter Kim • 28/04/2023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4 - 화성: 서부개척시대 물류 러쉬
동탄은 화성시 면적의 8%에 불과하지만 인구의 43%가 밀집되어 있고, 물류센터는 면적기준 73% (통탄물류단지 219천평)가 집중 위치하고 있습니다.
Carter Kim • 31/03/2023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3 - 용인: 수도권 저온 물류 HUB 아성을 유지할 것인가
전통적 물류 밀집지역인 수지·기흥구에 노후화된 냉동/냉장 물류센터가 다수 분포하고 있으나 신도시 개발로 인해 신규, 재개발이 이뤄지지 않으며 상대적으로 미개발 지역인 처인구에 신규 공급이 집중되었습니다. (용인시 공급 면적의 약 87% 처인구 집중)
Carter Kim • 28/02/2023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2 - 이천: 대한민국 물류 1번지
이천은 토지비가 상대적으로 저렴하고 전국을 연결하는 주요 고속도로가 통과하는 교통의 요지라는 점에서 수도권 내 전통적인 물류센터 공급 지역입니다.
Carter Kim • 31/01/2023
Insights • Supply Chain
Logistics Tenant Profile #1 - 인천: 수출입 HUB에서 이커머스 격전지로
인천은 국내 최대 공항 및 항만이 위치하고 있어 수출입 물류센터 수요가 주를 이루던 지역입니다. 수출입 물동량의 지속적인 증가에 따라 물류센터 수요 또한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Carter Kim • 30/12/2022